본문 바로가기
세상 이야기/생활 정보

설날 제사 지내는 순서 정리해 드릴게요!

by 0루비0 2023. 1. 8.
반응형

설날 제사 지내는 순서

안녕하세요! 명절 준비는 잘하고 계신가요? 

제사는 매년 계속해서 돌아오는데 그 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방법을 숙지하기 어려운 분들 많으셨죠? 

제가 제사 지내는 방법에 대해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설날 제사 지내는 방법

 

설날 제사 지내는 순서

 

1. 가장 처음 제주가 분향하고, 술잔을 받아 모사에 세 번 나누어 부은 후 재배할 수 있도록 한다.

2. 모두 신위를 향하여 재배하고 다시 제주가 분향한 후에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조금씩 세 번에 기울여 붓고 집사에게 준다.

3. 비위를 올리는 잔은 그대로 받아 올리고 재배, 같은 방식으로 아헌, 종헌의 술을 올린다.

4. 밥에 숟가락이 동쪽으로 오도록 꽂아주고 이후 방에 있거나 뒤돌아서 신위께서 제주 음식을 흠향하도록 기다린다.

5. 마지막으로 숭늉을 수저로 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말아놓고, 저를 고르고 올릴 수 있도록 한다.

6. 신위께서 식사를 다 마친 후에는 그릇에 있던 수저를 거둔 후 뚜껑을 닫는다.

7. 지방을 태우고 모든 제수를 물리고 모두 모여 음복한다.

 

 

 

 

 

 

 

 

 

 제사 지낼 때 알아두면 좋은 상식

 

설날 제사 지내는 순서

 

1. 제수로 올리는 음식의 개수가 홀수에 맞춰 올려야 한다. 그 이유는 예로부터 홀수는 양으로 길한 숫자이고 짝수는 음을 뜻한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2. 밥, 국, 숭늉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해야 하며, 명절이나 차례 때는 떡국이나 송편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3. 모든 제수는 향신료 (마늘, 후추, 파)를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만으로 조리해야 한다. 

4. 귀신을 쫓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복숭아나 팥은 상에 올리지 않는다. 

 

 

 

 

 

 설날 지방 쓰는 방법

 

설날 제사 지내는 순서

 

지방이란?

 

과거 집집마다 모시던 조상의 위패를 현대에 와서 종이에 글을 적은 것으로 대신한 것이다. 원래는 한자로 쓰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는 경우도 많다.

 

 

지방에 글 쓰는 방법

 

1. 차례상에 사용할 지방은 가로 6cm세로 22cm 규격의 깨끗한 한지를 접어 붓으로 쓰는 것이 원칙

2. 글씨는 세로로 작성하고 지방 상단의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확인해야 한다.

3. 지방의 가장 첫 글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 現이다.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으면 된다.

(고인이 한 사람일 경우 가운데 글자를 적고, 두 사람 이상일 경우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기재한다.)

4. 돌아가신 조상이 벼슬이었다면 '고인의 직위'에 벼슬 이름을 쓰고, 벼슬을 지내지 않은 남자 조상은 '학생', 여자 조상은 '유인'이라고 적는다. 

5. '고인의 이름'에는 남자 조상은 '부군', 여자 조상이나 아내의 경우 본관과 성씨를 적는다.

 

 


이상 설날을 맞이하여 차례 지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설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완벽 정리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어느덧 설 연휴가 다가오는 새해인데요. 설날이 되면 차례상을 차리고 매번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헷갈린 분들 많으셨죠. 제가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진설법

blossomruby.com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

새해 음력 1월 1일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설날입니다. 설날 첫 음식으로 우리는 떡국 한 그릇을 먹고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데요. 여기서 궁금해지는 것이 설날이면 의례적으로 먹어 왔던 떡국

blossomruby.com

 

반응형

댓글